근막통증 증후군 개념 알아보기
근막통증 증후군은 임상에서 가장 흔한 통증 질환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임상의에게 근막통증 증후군에 대해 기본 개념을 알 수 밖에 없는 환경을 강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근막통증 증후군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막통증 증후군이란?
근막통증 증후군은 흔한 만성 통증 원인 중 하나입니다. 만성 통증은 발병 빈도가 굉장히 높지만 그로 인해 그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적 비용으로만 치면 만성통증은 당뇨병이나 암, 심장병으로 인한 비용을 합한 것보다 훨씬 높은 비용을 초래합니다.
근막통은 급성 및 만성 통증 증후군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창요하는데, 일생에 한번은 통증이 있는 근막통 통증유발점을 경험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는 단지 ‘근육통’이라는 단순 증상으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기에,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막통에서 중요한 통증유발점(trigger point)는 조직의 손상과 관계 없이도 발생 가능하며, 관절염이나 whiplash injury와 같은 다른 손상과 관련이 될 수도 있습니다.
통증유발점(Trigger point)란?
통증유발점은 여러 분야에서 그 정의가 다르게 쓰이고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개념은 “통증 유발점은 골격근의 긴장된 띠에 존재하는 과민한 부위”라는 개념입니다. 이 개념에서 통증유발점은 압축, 신장, 과부하 또는 수축시 통증이 발생되고 그 지점에서 떨어진 부위에 연관통이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
통증유발점은 여러 유형이 존재하며, 활성, 잠재성, 위성 등의 형태로 구분되고는 합니다. 임상적으로는 활성과 잠재성 통증유발점으로 구분하는 것이 의미가 있습니다.
활성형 통증유발점 vs 잠재성 통증유발점
임상적으로 증상을 유발하는 통증유발점은 근육이 완전히 이완되지 못하게 합니다. 또한 근육을 약화시키기도 하고 해당부위를 누르게 되면 환자는 통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충분히 압박하게 되면 근육섬유의 국소적인 연축 반응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반면 잠재성 통증유발점은 촉진될 때만 통증을 유발합니다. 이른바 자발적인 통증 유발 상태가 아닌 것이지요. 당연하게도 잠재성 통증유발점은 활성 통증유발점보다 훨씬 흔합니다.
통증유발점, 활성형과 잠재형의 차이
이 둘의 차이는 환자가 증상을 인지하느냐 아니냐의 차이입니다. 잠재형 통증유발점은 말 그대로 검사자가 통증을 유발해 내지 않는다면 환자는 이를 스스로 인지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활성형 통증유발점은 자발적으로 유발되는 통증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환자가 그 동안 경험했던 통증을 유발하는 경향이 강하며 익숙하게 느끼는 증상과 높은 관련성이 있습니다.
또한 큰 차이 중 하나는 잠재성 통증유발점의 경우 촉진하거나 바늘자극을 할 때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는 하나, 근섬유교차 촉진에서는 증상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반면 활성형 통증유발점의 경우 도수촉진시에 쉽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상에서의 근막통증 증후군의 중요성
근막통증 증후군은 임상 환경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통증질환 중 하나입니다. 기저질환이 깔려 있는 경우는 물론이거니와 특별한 기저질환 없이 단순 근막통증 증후군을 호소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만약 임상의가 근막통증 증후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경험이 갖춰져 있다면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을 피하고 최소한의 시술 및 치료로 환자들의 일상생활 복귀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근막통증 증후군의 모호함
근막통증 증후군에 대한 경험이 필요한 것은 이것이 단지 흔하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근막통증 증후군은 보다 치명적인 질환들과 감별이 필요한데, 감별해야 할 질환들의 종류가 수 없이 많습니다. 때로는 그러한 질환들이 치명적이라, 감별진단이 늦어질 경우 환자에게 큰 해를 가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때문에 근막 통증 증후군에 대해 접근할 때에는, 혼동 가능한 다른 질환들에 대한 트레이닝도 동시에 이뤄져야 합니다.
이상 근막통증 증후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근막통증 증후군 이해의 바탕이 되는 통증유발점의 신경생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